요약

  1. 문자형: 고정 길이와 가변 길이에 따라서 조절
  2. 숫자형: 정수형과 실수형으로 구분되며, 전체 및 소수점 자리 조절
  3. 날짜 및 시간: 날짜 형식과 시간 간격을 조절

1. 문자형

1.1 char(n)

  • 고정 길이 문자열로 설정한 길이보다 짧으면 공백( )을 채움
  • 예) char(5)인 경우 abc 데이터는 테이블에 abc 로 저장됨
  • 따라서, 고정된 길이이 코드 값을 설정할 때 지정
    • 예) PNU, 우편번호 등

1.2 varchar(n)

  • 가변 길이 문자열 저장하며, 최대 길이를 넘길 수 없음
  • 예) varchar(10) 인 경우 abc 는 테이블에 abc로 저장됨
  • 따라서, 이름이나, 주소와 같이 길이가 제각각인 문자열 컬럼 저장에 사용됨

1.3 text

  • 매우 큰 가변 길이 문자열 저장으로 길이에 제한 없음
  • 설명글과 같이 길이가 대략적으로도 모르는 경우 사용
    • 단, 모든 문자열을 text로 설정하면 비효율적

2. 숫자형

2.1 정수형

  1. SMALLINT(2 Byte) : -32,768에서 32,767까지의 정수
  2. INTEGER(4 Byte): 2,147,483,648에서 2,147,483,647까지의 정수
  3. BIGINT(8 Byte): -9,223,372,036,854,775,808에서 9,223,372,036,854,775,807

2.2 실수형

  1. REAL(4 Byte): 대략 소수점 이하 6자리까지 표현
  2. DOUBLE PRECISION(8 Byte): 대략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표형

2.3 고정 소수점

  1. NUMERIC(p, s) 또는 DEMICAL(p, s)
    1. p: 전체 자릿수 / s: 소수점 이하 자릿수
    2. 예) NUMERIC(10,2): 최대 10자리 숫자를 소수점 2자리까지 저장

3. 날짜 및 시간

3.1 DATE

  • 날짜를 YYYY-MM-DD 형식으로 저장

3.2 TIMESTAMP WITHOUT TIME ZONE

  • 날짜와 시간을 YYYY-MM-DD HH:MI:SS 형식으로 저장
  • 타임존 정보 저장하지 않으며, UTC 기준이 아님

3.3 INTERVAL

  • 시간 간격을 저장
  • 예) interval '1 day 2 hours
    • 1일 하고 2시간 차이나 기간 저장

4. 논리형

4.1 BOOLEAN

  • 참(TRUE), 거짓(FALSE) 또는 NULL 값 저장

참고사이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