작성 내용 및 요약
- PARA 노트 체계화: 분류 기준은
주제가 아닌 행동- PARA 구조: Project, Area, Resource, Archive
- Project: 목표와 데드라인이 명확!
- Area: 책임의 영역으로 꾸준히 신경써야 하는 내용(목표 및 데드라인 X)
- Resource: 주제별로 자료나 관심사를 정리(목표, 데드라인, 책임 X)
- Archive: 더 이상 필요없는 노트
1. PARA 노트 체계화
기존 노트 분류의 문제점
- 주제 별로 정리하다 방치
- 어디에 넣을지 고민
- 내가 잘 쓰고 있는 건가 의심
PARA 노트 체계화
철학: 노트의 분류가
주제가 아닌 행동!
특징
- 필요에 의해서 노트의 위치가 계속 변함
- 그때 그때 필요할때마다 노트를 옮김
- 자기 전 15분, 특정 일과 같이 정해진 루틴 XX
장점
- 찾기 쉬움
- 노트가 어떻게 필요할 지 생각하게 됨
- PARA 자체가 내 삶의 대시보드
- 유동적으로 노트를 옮기는 방식은 노트 관리 부담을 줄임
Quote
Project와 Area를 구분하지 않으면, 회사 일과 가족일도 버거운데 다른 일도 신경써야한다는 압박감이 존재 그러나, Project와 Area를 구분하는 것만으로도 위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음
2. PARA 구조
PROJECT
목표와 데드라인이 명확하여, 평생 작성하는 노트가 아님! 예시: 자취 프로젝트
- 첫 자취를 위해 다양한 준비사항들로 부동산, 가구, 인테리어 등이 존재.
- 이 중 인테리어에 흥미가 생겨 인테리어와 관련된 책을 통해 학습하고 메모함.
-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점!!
- 인테리어 메모를 Project 하위 노트인 자취 노트에 분류하지 않고 인테리어라는 주제에 따로 분류하게 됨
- 여기서 인테리어는 인테리어만의 지식이 아닌 자취를 위한 인테리어임을 망각함
- 이는 주제별로 노트를 분류하는 방법이며, PARA 체계화가 아님
- 따라서, 자취 프로젝트의 하위 노트로 인테리어, 가구, 부동산으로 분류함
AREA
책임의 영역으로 목표와 데드라인이 없지만, 꾸준히 신경써야하는 것들 예시: 건강, 돈, 집, 차량, 가족 등
- 가장 많이 쓰는 노트의 종류
- 나의 특성이나 성격 및 루틴 > 나의 정체성
RESOURCE
주제별 자료나 관심있는 내용으로 목표, 데드라인, 책임 X 예시: 언젠가 쓸 법한 내용, 공부하는 내용, 덕질 등
ARCHIVE
더 이상 필요없는 노트 모음 예시: 완료가 된 Project, 더 이상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Area, 관심에서 사라진 Resource